사회를 보는 시야

북한의 매머드급 구축함 '최현함' 공개! 우리나라 군함과 비교해보기

심마저자 2025. 4. 26. 16:28
반응형

 

4월 26일, 북한이 마침내 그동안 '북한판 이지스함'으로 불리던 최신형 구축함, **5000톤급 '최현함'**을 공개했습니다. 북한 해군 역사상 가장 큰 군함이라는 점에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요. 과연 이 구축함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고, 우리나라의 군함들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일까요?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이야기

 

최현함

 

'최현함' 간단 소개

  • 톤수: 약 5000톤
  • 기능: 함대지 미사일, 함대공 미사일 탑재 가능성
  • 배치 목적: 평양 및 수도권 방공망 강화
  • 건조 장소: 남포조선소
  • 운용 시기: 2025년 초 실전 배치 예정
  • 특징: 최대 사거리 150km급 대공미사일로 평양 및 수도권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분석
  • 이름 유래: 북한 해군 영웅 '최현'의 이름을 따 명명

북한이 지금까지 주력으로 운용해온 압록급(약 1500톤)이나 암녹급(80m급)에 비하면 무려 3배 이상 대형화된 규모입니다. 외형적으로도 마치 서방 국가들의 이지스 구축함을 연상케 하는 스텔스 스타일 설계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세종대왕 이지스 구축함

구축함이란 무엇일까?

**구축함(Destroyer)**은 빠른 속도와 강력한 화력을 갖춘 전투함으로, 주로 항공기, 미사일, 함정을 요격하거나 함대 보호 및 공격 임무를 수행합니다. 현대 해군의 핵심 전력 중 하나로, 다기능 작전이 가능한 첨단 무기 체계를 갖춘 경우가 많습니다.

구축함은 주로 다음과 같은 임무를 맡습니다:

  • 함대 방공 (함대공 미사일 운용)
  • 대함전 (적 함정 공격)
  • 대잠전 (잠수함 탐지 및 격침)
  • 정찰 및 경계 임무

광개토대왕 구축함

우리나라 주요 구축함과 비교해보기

북한의 최현함을 한국 해군의 주력 구축함들과 비교해보면 어떨까요?

 

항목          최현함 (북한)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한국)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한국)

배수량 약 5000톤 약 10,000톤 (만재) 약 3900톤 (만재)
길이 약 130m 예상 166m 135m
주요 무장 함대공/함대지 미사일, 대공방어 체계 예상 SM-2 대공미사일, 함대지/함대함 미사일, CIWS 등 함대함 미사일, 대공 미사일, 어뢰 발사관 등
방공 능력 수도권 방어 가능 (추정) 탄도미사일 요격 가능 (SPY-1D 레이더 탑재) 지역 방공 가능
건조 연도 2024년 (진수) 2008~2012년 (3척) 1998~2000년 (3척)

👉 비교 포인트

  • 크기: 최현함은 세종대왕급보다는 작지만 광개토대왕급보다는 약간 더 큽니다.
  • 기능: 세종대왕급은 정통 이지스 시스템을 갖추고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까지 있는 반면, 최현함은 대공 및 대함 방어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입니다.
  • 기술 수준: 현대적 스텔스 설계와 무장 탑재가 기대되긴 하나, 종합적인 레이더/전자전/대잠 능력에서는 한국 구축함들보다 상당히 낮을 것으로 평가됩니다.

 

2. 결론: 최현함, 위협은 되지만 격차는 여전

 

북한의 최현함은 분명히 기존 북한 해군 전력 대비 대폭 향상된 규모와 성능을 보여줍니다. 특히 수도권 방어를 위한 평양 인근 해역 방어망 구축이라는 전략적 의미도 큽니다.

하지만 한국 해군이 보유한 세종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DDH-II), 광개토대왕급 등과 비교하면 기술력, 무기 체계, 운용 능력 면에서 여전히 큰 격차가 존재합니다.

물론, 북한 해군의 변화를 주시할 필요는 있습니다. 이번 최현함 공개를 계기로 향후 북한의 해군 현대화 전략이 어떻게 전개될지, 그리고 이에 맞서 한국 해군이 어떤 대응 전략을 마련할지도 함께 지켜봐야겠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