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양

색정망상(色情妄想), 그 병명에 대하여

심마저자 2025. 9. 24. 13:0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신의학에서 다루는 색정망상(色情妄想, Erotomania) 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영화나 드라마에서도 종종 소재로 등장하는 심리적·정신적 질환입니다.

 

넷플릭스 크라임씬 제로 속 장면

📌 색정망상이란?

색정망상은 정신과에서 망상장애의 한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환자는 특정 인물이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잘못된 믿음을 굳게 갖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 유명인, 권력자, 상사, 혹은 전혀 친분이 없는 인물이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 실제로 상대방이 그런 감정을 표현한 적이 없음에도, 환자는 작은 행동이나 상황을 과도하게 해석하며 "그 사람이 나를 좋아한다"는 신념을 강화합니다.

이런 망상은 단순한 호감이나 짝사랑과는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논리적인 설득이나 증거로도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입니다.

⚠️ 주요 특징

  1. 일방적 사랑의 확신
    → 대상자가 자신에게 특별한 관심과 사랑을 갖고 있다고 믿습니다.
  2. 증거 과대 해석
    → 상대가 우연히 미소 지었거나 인사한 것조차 ‘사랑의 신호’로 받아들입니다.
  3. 집착적 행동
    → 반복적인 연락, 뒤쫓기(스토킹), 불필요한 선물 전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현실과의 괴리
    → 실제로는 상대방이 불편함을 표현하거나 거리를 두지만, 환자는 이를 오히려 사랑의 신호로 왜곡하기도 합니다.

🧬 원인과 배경

색정망상의 원인은 단일하지 않습니다.

  • 정신질환 배경: 조현병, 양극성 장애, 우울증 등과 동반되기도 합니다.
  • 신경학적 요인: 뇌 손상, 치매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심리·사회적 요인: 외로움, 낮은 자존감, 대인관계 어려움 등이 발현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 치료와 접근

색정망상은 전문적인 정신과 치료가 필요한 영역입니다.

  • 약물치료: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CBT) 등을 통해 왜곡된 사고를 교정하는 방법이 활용됩니다.
  • 환경 관리: 대상자와의 접촉을 제한하고, 스토킹 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법적·사회적 대응이 병행되기도 합니다.

🌱 마무리하며

색정망상은 단순한 집착이나 짝사랑이 아니라, 정신의학적으로 규정된 질환입니다.
본인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혹시 주변에서 "누군가 나를 무조건 사랑한다"는 식의 확신에 찬 이야기를 반복하는 사람이 있다면, 가볍게 넘기지 말고 전문적인 상담과 진료를 권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