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를 보는 시야

내년부터 감기약 먹고 운전하면? 면허 취소·징역형까지! — 개정 도로교통법 알아보기

심마저자 2025. 9. 21. 20:0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께 꼭 필요한 도로교통법 개정 소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
내년부터는 감기약, 수면제 같은 흔한 약을 먹고 운전하다 적발되면 음주운전과 동일한 처벌을 받게 된다고 하는데요.

과연 어떤 변화가 생기는 걸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개정 도로교통법의 핵심

지금까지는 음주운전 단속처럼 ‘혈중알코올농도 기준’이 명확했지만, 약물 운전에 대해서는 다소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 하지만 내년부터는 이렇게 바뀝니다.

  • ‘정상적 운전이 곤란한 약물상태’ 운전 금지
  • 면허 정지·취소 가능
  • 처벌 수위 강화
    • 종전: 징역 3년 이하 또는 벌금 1천만 원 이하
    • 개정 후: 징역 5년 이하 또는 벌금 2천만 원 이하

즉, 졸음·환각·인지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한 뒤 운전하다 적발되면 음주운전과 똑같이 취급되는 것입니다.

📊 실제 사고 사례

실제로 약물 운전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 2022년: 면허 취소 80건
  • 2024년: 면허 취소 160건 (2배 증가)
  • 사고 건수: 2019년 2건 → 2024년 23건

특히 부산·울산 지역에서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했는데요.

  • 울산: 수면제를 먹고 운전하던 50대, 면허 취소 + 벌금 300만 원
  • 부산 해운대: 항우울제를 복용한 운전자, 비틀거리며 주행하다 적발

연예계에서도 방송인 이경규 씨 약물 운전 사건이 큰 사회적 파장을 불러일으킨 바 있습니다.

 

💊 주의해야 할 약물 리스트

전문가들은 특히 다음 약물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 감기약(항히스타민 성분)
  • 진정제
  • 수면제
  • 항우울제
  • 일부 항불안제

👉 복용 후 졸음, 집중력 저하, 인지 기능 약화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괜찮겠지”라는 생각은 매우 위험합니다.

📝 전문가들이 말하는 안전 수칙

의사와 약사들은 다음을 강조합니다.

  1. 약을 처방받을 때 반드시 운전 가능 여부 확인하기
  2. 처방전과 복용 기록 보관하기 (사고 시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음)
  3. 약 복용 후 피곤하거나 어지러우면 운전 삼가하기
  4. 대중교통이나 대리운전 이용하기

🚦 결론: 약물 운전, 이제는 ‘음주운전’과 같다

내년부터 바뀌는 도로교통법은 분명 강력한 경고입니다.
“조금 졸리지만 괜찮겠지”라는 방심이 나와 타인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감기약도, 수면제도 복용 후에는 절대 운전 NO!
✅ 처벌 강화 이전에, 스스로 안전을 지키는 습관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