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미래

트럼프 관세정책에 출렁이는 증시… 지금 주식을 팔아야 할까?

심마저자 2025. 4. 9. 22:40
반응형

 

“또 무슨 일이야?”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폭탄, 자산시장을 강타하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다시 한번 전 세계 자산시장에 거센 파도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글로벌 증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출렁이고, 개인 투자자들은 “지금이라도 팔아야 하나?”라는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죠.

이럴 때일수록 중요한 건 패닉셀링(공포 매도)은 금물이라는 것! 전문가들의 의견을 한데 모아봤습니다.

 

1. 이야기

 

 

국민일보 취재에 따르면, 대부분의 증시 전문가들은 “지금은 주식을 매도해 손실을 확정지을 때가 아니다”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단, 추가 매수 시점과 자산 배분 전략에 대해서는 의견이 조금 갈렸습니다.

전문가들의 전략 요약

1️⃣ 홍춘욱 프리즘투자자문 대표

“이럴 때는 매수해 버티는 것이 전략이다.”

  • 글로벌 증시 폭락은 마진콜 시장의 전형적 특성
  • 금·채권 등 안전자산도 이미 고평가, 지금은 주식 비중 확대 기회
  • 2008년 금융위기처럼 은행 시스템 붕괴 가능성은 낮음

✅ 추천 전략: 주식 매수, 현금 대신 위험자산 비중 확대

2️⃣ 남정득 KB증권 금융센터장

“낙폭이 큰 우량주에 관심을 가져라.”

  • 기술주, 조선, 방산 등은 단기 낙폭 크지만 장기적으론 가격 메리트 존재
  • 지금은 종목 이슈보다 시장 전반 리스크가 문제

✅ 추천 포트폴리오:

  • 주식 35%
  • 채권 60%
  • 금 등 대체자산 5%

3️⃣ 이희권 메리츠증권 지점장

“추가 하락 가능성 대비해야 한다.”

  • 관세 이슈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 실적 추정치 하향과 2차 조정 가능성 존재
  • 단기적으로 지수 바닥 예측은 위험

✅ 조언:

  • 신용융자 비중 높다면 일부 매도 고려
  • 무차입 투자라면 ‘존버’ 전략 유효

4️⃣ 유승민 삼성증권 팀장

“지금은 현금 확보, 그리고 기다림의 시간이다.”

  • 금·채권은 이미 피난처로서의 메리트 상실
  •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 내수 부양 정책 등으로 시장 반등 가능

✅ 전략:

  • 현금 보유
  • 관세 협상 추이 관찰 후 매수 재개

그럼 개인 투자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한 줄 요약: 팔지도, 급히 사지도 말고 전략적으로 준비하자!

  • ✔️ 현금 보유가 있다면? 관세 이슈 정리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타이밍 노리기
  • ✔️ 이미 주식을 보유 중이라면? 신용거래가 아니라면 패닉셀링은 금물
  • ✔️ 신용 융자가 있다면? 생존을 위해 일부 포트폴리오 축소 고려
  • ✔️ 우량주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하기

 

2. 마무리하며: 투자에도 ‘심호흡’이 필요합니다

 

시장이 요동칠 때일수록 ‘지금이 바닥일까?’란 생각에 팔고 싶은 유혹이 커지죠. 하지만 시장은 늘 다시 회복해왔고, 그 때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리는 이들은 공포의 시간을 견뎌낸 사람들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가져온 불확실성, 예측은 어렵지만 우리는 준비할 수 있습니다.

🧠 “공포 속에서도 기회를 찾는 것이 진짜 투자자의 자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