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러분은 4.19 혁명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지금의 10대와 20대, 이른바 **Z세대(Gen Z)**는 대부분 태어나기 전 이야기고, 교과서에서 한두 줄 언급되는 정도로 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지금 자유롭게 투표를 하고, 권력을 비판할 수 있는 이 민주주의 사회는 바로 이 4.19에서 비롯됐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민주주의의 불씨’를 지핀 4.19 혁명에 대해 쉽고 간단하게 풀어보려 합니다.
1. 이야기
그날, 무엇이 일어났을까?
📆 날짜1960년 4월 19일
📍 장소 | 서울 전역 (특히 고려대학교, 마산, 중앙청 앞 등) |
👥 주역 | 중고등학생, 대학생, 시민들 |
배경: 자유당의 독재와 부정선거
4.19 혁명의 중심에는 이승만 정부의 독재와 부정선거가 있었습니다.
-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84세. 이미 3선까지 했지만 더 해먹으려고(!) 부정선거를 자행했습니다.
- 특히 1960년 3월 15일 부통령 선거에서 이기붕(이승만의 사람)을 당선시키기 위해, 전국에서 조작, 유령 투표, 개표 조작이 벌어졌죠.
- 이를 눈치 챈 시민들과 학생들이 "이건 아니지!" 하며 거리로 나섰습니다.
마산에서 시작된 분노
- 3.15 부정선거 다음 날, 마산에서 고등학생들이 시위를 시작했습니다.
- 이 시위에 대해 경찰은 최루탄, 총기 발포까지 하며 진압했고,
- 결국 한 달 뒤, 바닷가에서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눈에 최루탄이 박힌 채 떠오르면서 전국이 분노하게 됩니다.
📣 그날의 한마디:
"민주주의를 살려내라!"
4월 19일, 전국이 들끓었다
이제 서울에서도 학생과 시민들이 대거 거리로 나섰습니다.
-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경희대 등 대학생들이 중심이 됐고,
- 수많은 고등학생들도 “책 대신 정의”를 들고 나왔습니다.
- 경찰은 무차별 발포로 대응했고, 그날만 약 180명 이상이 사망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피로 민주주의는 결국 싹을 틔우게 됩니다.
결과: 이승만 대통령 하야
결국 4.19 이후 이승만 대통령은 4월 26일 하야 성명을 발표합니다.
- “나는 물러난다”
- 이후 하와이로 망명
📌 이로 인해 제1공화국이 무너지고,
대한민국은 민주주의의 첫걸음을 내딛게 된 것이죠.
젠지세대가 꼭 알아야 할 이유
지금 우리가 자유롭게 SNS에 정치 이야기 쓰고, 비판하고, 투표하는 것,
당연하게 여겨질 수 있지만, 그 시작은 바로 4.19 혁명이었습니다.
- 누군가는 목숨을 걸고 싸웠고,
- 누군가는 총칼 앞에서 무릎 꿇지 않았으며,
- 결국 그들의 용기와 희생이 오늘날 우리의 표 한 장의 가치를 만든 겁니다.
2. 마무리하며
요즘 민주주의가 흔들리는 듯한 소식도 들리죠.
그럴수록 우리는 더더욱 민주주의가 어떤 대가로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그 불씨를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를 기억해야 합니다.
4.19는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닙니다.
지금의 대한민국이 가능하도록 만든 시민의 외침이자, 청춘의 저항입니다.
반응형
'기본소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22일, 지구의 날(Earth Day)! (1) | 2025.04.20 |
---|---|
4월 21일 과학의 날, 과학이 세상을 바꾸는 날! (0) | 2025.04.18 |
곡우(穀雨), 들어는 봤지만 어떤 날일까? (2) | 2025.04.14 |
사회초년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작은 예절들 (1) | 2025.04.11 |
전쟁 발발 시, 민간인이 살아남는 법 (1) | 2025.04.10 |